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자동차 타이어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insurang 2017. 12. 12.
728x90
반응형

아침 출근길에 올랐는데, 타이어가 펑크나 있었어요.

어찌나 다급했던지...

겨울철이 되고, 땅이 얼면서 타이어를 비롯해 자동차의 잦은 고장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답니다.


@ 타이어펑크 - 대처방법


타이어가 펑크가 났을 땐 어떻게 해야 될까요?


1. 차가 움직이면서 바람이 새는 소리는 난다.

그런데 아직 타이어에 바람은 있는거 같다. ( 타이어 안쪽 은색 휠이 땅에 닿는거 같지는 않다. )

 > 그렇다면 근처 가까운 정비소로 천천히 차를 운전해서 가면 됩니다.


2. 타이어에 바람이 완전히 빠져서 차가 가라 앉았다.

타이어 아래쪽이 완전히 쭈그러든거 같다. ( 타이어 안쪽 은색 휠이 땅에 닿는거 같다. )

> 만약 타이어가 아직 쓸만하다면? 가입한 자동차 보험을 불러서 타이어 펑크 수리 요청을 하면 된다.

> 그러나 타이어가 다 닳았다면? 보험을 불러서 근처 정비소로 이동해서 타이어 교체 수리를 받으면 된다.

> 혹시 약속이 있어서 급하다면? 보험을 불러서 차 트렁크에 스페어타이어로 교체 요청을 하고, 천천히 운전을 해서 볼 일을 본 후 근처 정비소로 찾아가면 된다.


저는 타이어가 펑크났고, 완전히 바람이 빠진상태였습니다.

아침에 출근도 해야 되겠고, 타이어도 다 닳았습니다.

보험을 불러서 스페어 타이어로 교체를 하고, 회사 출근을 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저렴한 타이어교체수리점을 찾아서 교체를 했습니다.

만약 3~4일 차가 급하지 않다면 잠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인터넷으로 타이어를 주문해서 교체해도 됩니다.

참고로, 보험을 통해서 타이어 4개를 모두 교환할 수도 있습니다.

( 일반적인경우 교체비용이 무료이니 이것도 쏠쏠 합니다. 횟수가 정해져 있으니 반드시 콜센터에 문의하셔서 확인 바랍니다. )


@ 타이어 교체 시기


타이어는 언제 교체해야 될까요?


타이어 교체 시기를 몰라서 고속도로 한가운데서 펑크가 나면서 사고가 나는경우도 있으니 꼭 알아두세요.


1. 타이어 가운데에 파인홈에 100원짜리 동전을 넣어서 감투(모자)가 거의 다 보인다면 반드시 교체를 해야 합니다.


2. 타이어 옆부분에 삼각형 모양(타이어 마모 한계선)까지 타이어가 닳았다면 꼭 교체해주세요.


꼭!!! 교체를 해주세요. 자동차는 생명과 직결되는 부분입니다.



@ 타이어 종류


그런데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타이어는 어떤걸 사야 되지?

인터넷에 보니 참 많은 종류의 타이어가 있었습니다.

타이어라는것이 자주 교체하는것이 아니다 보니, 정비소에 가서 싼거, 보통, 비싼거 주세요~ 하고 주문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이 참에 관심을 좀 가져보자^^


까만 타이어에 자세히보면 까만 글씨가 새겨져 있습니다.


제 타이어의 경우는 P185 / 65R14 85H 라고 적혀 있네요.

이게 타이어의 종류 입니다.

저도 오늘 처음 관심을 갖게 되었으니 좀 더 들여다 볼까요?

P185 : 단면폭 (광폭타이어의 근간이 되는 수치입니다.)

 > 단면폭이 넓을 수록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그러나 빗길이나 빙판길엔 취약하다고 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65 : 평편비 (고성능일수록 단면 높이가 낮아진다고 합니다.)


R : 래디알구조라는데... 2~3가지 정도 있는거 같습니다.


14 : 14인치 (타이어 인치를 표시합니다.)

> 인치가 크면 코너 돌 때나 핸들의 안정감이 높아지지만,

> 1인치에 연비가 1km 씩 줄어든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85 : 하중지수 (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 타이어가 견딜 수 있는 하중 지수를 말합니다.

H : 속도지수 (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 타이어가 견딜 수 있는 속도를 말합니다.


하중지수와 속도지수는 무조건 크다고 좋은것이 아닙니다.

연비와 타이어 가격의 상관비율이 있겠죠?


출처 : http://blog.naver.com/adforyou0/220582715440


저도 타이어에 대해 처음 알아본거라 깊이 있게 알 수는 없네요. ㅠㅠ

그래도 기본은 알게 된거 같습니다.

일반사용자로서 이정도면 되지 않을까요? ^^;















728x90
반응형